야생동물의 신고 접수는 사람이 발견하였을 때 이루어집니다. 조난 과정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최초 발견자인 신고자에게 어디에
충돌했는지, 언제부터 발견되었는지 등과 같은 정확한 상황을 전달받는 것이 치료 과정에 큰 도움이됩니다. 신고자가 직접 구조하여
데리고 있는 경우에 구조 위치를 알아야 해당 동물이 생활하던 서식지로 방생이 가능합니다.
구조를 할 때에는 포획망, 포획집게, 보호장갑, 담요 등을 사용합니다. 신속한 구조 후 다친 동물이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이송상자나
켄넬에 담아 어둡고 조용하게 이송합니다. 이 과정에서 건물에 들어와 나가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동물들은
현장에서 방생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센터로 들어온 동물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센터로 들어오게 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을 염두에 두고 검사를 진행
합니다. 전체적인 신체를 육안으로 살펴보는 신체검사, 혈액의 수치를 측정하는 혈액검사, 근골격계 이상을 확인 할 수 있는 방사선
검사, 도말검사와 키트검사, PCR등을 이용한 감염성 질병 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하며 진단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진단 내용에 따라 필요한 내·외과적 처치를 합니다. 간단한 상처를 처치하거나 투약을 하기도 하고 골절 수술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조류의 경우 뼈가 붙기까지 3주밖에 걸리지 않는 만큼 집에서 치료를 시도하기보다 센터로 바로 신고를 해주시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확률이 높습니다.
치료가 끝난 후 다시 야생으로 돌아가기 위한 비행훈련, 먹이훈련, 자연적응을 위한 훈련을 합니다. 골절이나 탈진 등으로 오랜 기간
비행을 못한 조류들은 비행훈련이나 비행유도를 통해 비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어린 동물들의 경우 야생에서도 먹이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먹이를 찾아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방생 할 때에는 가락지를 채우거나 마이크로칩을 삽입하는 등 개체표식을 하여 방생합니다. 방생은 구조되었던 위치에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해당 위치가 개발지나 도로와 같이 살아가기에 위험한 위치일 경우 안전한 위치를 선택하여 방생합니다.